반응형

 

라이온 킹 줄거리 및 해석

이 리뷰에는 스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성공을 거둔 디즈니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 90년대 디즈니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디즈니 역대 최고의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벼랑 끝에서 무파사를 밀어버리는 스카. 둘 다 성우 목소리가 너무나 멋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바나를 다스리는 사자왕 무파사는 형제인 스카의 계략으로 인해 죽게 되고, 무파사의 아들 심바는 홀로 도망쳐 새로운 친구들인 티몬과 품바와 함께 근심과 걱정 없는 삶을 보냅니다. 그러던 중, 어린 시절을 함께 지낸 암사자 날라를 만나게 되고, 고향 프라이드 랜드가 스카의 폭정으로 파괴되었다는 소식을 듣게 됩니다. 하지만 심바는 자신 때문에 무파사가 죽었다고 생각하며 죄책감에 돌아가기를 거부합니다. 결국 심바는 잊었던 아버지의 가르침을 생각해내고, 앞으로 도망치기보단 왕으로서 사명과 책임을 다 하기로 합니다. 다시 고향에 돌아온 심바는 아버지의 복수를 하고, 왕의 자리를 되찾습니다. 그리고 프라이드 랜드도 질서와 평화를 회복합니다.

 

 

라이온 킹의 모티브가 된 햄릿

라이온 킹 vs 햄릿

 

죽은 아버지의 귀신을 만나고 각성한 후, 아버지를 죽이고 왕좌를 차지한 삼촌을 복수한다는 이 줄거리는 셰익스피어의 유명한 희곡, 햄릿을 떠올리게 합니다. 라이온 킹 제작진이 직접 햄릿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을 정도로 비슷한 갈등 구조와 캐릭터를 녹여냈습니다. 하지만 큰 차이점은 엔딩입니다. 햄릿은 쓸데없는 삽질 끝에 결국 모두가 죽는 비극으로 끝이 나지만, 심바는 아버지 무파사처럼 훌륭한 왕이 됩니다. 무엇이 이 차이를 만든 것일까요. 처음에 심바는 단순히 잘난 아빠를 둔 철없는 꼬맹이의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하지만 여러 친구들과 아버지의 도움으로 성장하고, 마지막엔 다 같이 힘을 합쳐 고난을 이겨냅니다. 하지만 햄릿은 끝까지 혼자 고민하고 해결하려다 결국 모두를 죽음으로 내몰고 나라까지 말아먹습니다.  무엇보다 무파사는 심바에게 스스로가 누구인지 기억하라는 조언만 해주었지, 복수를 요구한 적이 없습니다. 심바는 스스로의 의지로 프라이드 랜드의 평화를 위해 왕이 된 것이죠. 햄릿은 아버지의 귀신이 나타나 직접 복수를 부탁했던 순간부터 비극은 예견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햄릿을 상징하는 끝없는 고뇌와 불분명한 선과 악의 경계는 각색되면서 단순화되거나 아예 제거되었습니다. 이런 식으로 햄릿의 비극적인 스토리는 좀 더 단순한 권선징악의 형태를 띤 희망적인 스토리로 탈바꿈합니다.

 

 

생명의 순환 vs 하쿠나 마타타

 

라이온 킹엔 유명한 사운드트랙들이 참 많습니다. 그 중에선 이 영화를 상징하는 두 노래는 두 가지의 다른 인생철학을 나타냅니다. 

 

나주평야~발바리 치와와~

고난이 와도 희망을 가지고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간다는 '생명의 순환'.

 

하쿠나 마타타!!!

어쩔 수 없는 과거나 걱정은 잊어버리고 즐겁게 살아가라는 '하쿠나 마타타'

 

절망하고 있던 어린 심바에게 하쿠나 마타타는 앞으로 나아갈 용기를 주고, 삶의 즐거움을 가르쳐 줍니다. 만약 햄릿에게도 티몬과 품바와 같은 친구들이 있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지도 모릅니다. 그들은 심바에게 햄릿은 가지지 못한 여유와 긍정을 가르쳐줍니다. 하지만 심바가 끝까지 하쿠나 마타타를 외치며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았다면 프라이드 랜드의 모든 동물들은 고통 속에서 살았을 것입니다.  심바는 아버지 무파사의 가르침을 떠올리며, 고난이 와도 계속되는 '생명의 순환'처럼, 자신도 스스로의 위치와 책임을 받아들이며 살아가기로 합니다. 괴로운 일을 피하기보단 인정하고 싸워나가기로 결심합니다. 상반되는 듯 보이지만 이 두 가지 철학은 살면서 모두 필수적입니다. 삶과 죽음이 공존하며 세상의 균형을 이루는 것처럼 말이죠.

 

어른이 된다는건 단순히 나이를 먹는게 아닌 나의 위치와 책임을 배우는 것

  라이온 킹은 어린이들의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이지만, 시간이 흘러도 모두가 공감하며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특히 나이를 먹을수록 어른이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삶과 죽음이 완성시키는 '삶의 순환'이란 무엇인지 더욱 곱씹어보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